지난 10월 말 브릭스 정상회의, <br /> <br />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미국이 달러를 무기화하고 있어서, 대안을 찾을 수밖에 없다고 공개적으로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는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 금융 결제망에서 퇴출돼 달러 거래를 제한받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블라디미르 푸틴 / 러시아 대통령 : 더 공정한 세계 질서로 전환하는 게 순조롭지 않습니다. 모든 것에 대한 지배를 당연히 여기는 세력이 발전을 지연시키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룰라 브라질 대통령도 힘을 실었습니다. <br /> <br />[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/ 브라질 대통령 : 우리의 통화를 교체하는 문제는 아닙니다. 그러나 우리가 추구하는 다극적 질서가 국제 금융 시스템에 반영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브라질은 이미 중국과 양국 교역에서 달러 대신 자국 통화를 사용하기로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, 중국은 10년 전부터 위안화의 국제화를 추진하며 달러 패권에 도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브릭스 국가들의 이런 '탈달러화' 움직임을 손 놓고 보고 있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습니다. <br /> <br />"새로운 통화를 만들거나 미국 달러를 대체할 다른 통화를 지지하지 않겠다고 약속해야 한다"며, <br /> <br />"그렇지 않으면 100% 관세에 직면하고, 미국 시장에 작별을 고해야 할 것"이라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관세를 놓고 '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말'이라고 칭송한 트럼프 당선인, <br /> <br />무역은 물론, 이민과 마약, 통화 정책에서도 관세 카드로 다른 나라들을 압박하면서, 대응책을 찾아야 하는 국제사회의 고심도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홍주예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ㅣ김지연 <br />자막뉴스ㅣ이 선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202104142500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